[WEB] 웹서비스
SW/Computer Science 2021. 6. 15. 07:17

웹서비스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서버 에 접속하여 요청을 보내고 제공받는 서비스입니다. 클라이언트가 특정 url 에 접속하여 서버에 요청을 보냅니다. 서버는 해당 요청에 알맞는 정보(html 파일 등)을 보냅니다. 클라이언트는 전달받은 정보를 렌더링하여 출력합니다. Front-End / Back-End Front-End 웹브라우저에서 특정 주소를 가진 서버 컴퓨터에 요청을 보내면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가 제공됩니다. (ex. html파일을 받아 렌더링해서 화면에 보여줍니다.) 예를들어, a 태그를 가진 영역을 클릭하면 웹 브라우저는 다시 해당 주소를 가진 서버에 html 파일을 요청하고, 서버에서 받아 렌더링해서 보여줍니다. 이처럼 보여주는 화면이 Front-End입니다. 여기에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

[WEB] 쿠키와 세션
SW/Computer Science 2021. 6. 1. 21:37

쿠키(Cookie) / 세션(Session) 쿠키와 세션은 웹 통신에서 유지하고 싶은 데이터 (ex. 로그인 데이터) 를 저장해두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곳 을 참고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는 이유 HTTP 프로토콜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Connectionless 프로토콜 (비연결지향)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Request)을 했을 때, 응답(Response)한 후 연결을 끊는 처리방식 HTTP 1.1 버전에서 연결을 유지하고, 재활용 하는 기능이 Default 로 추가되었습니다. (keep-alive 값으로 변경 가능) Stateless 프로토콜 (상태정보 유지 안함)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가지지 않는 서버 처리 방식 클라이언트와 첫번째 통신에서 데이터를..

[WEB] HTTP의 GET과 POST
SW/Computer Science 2021. 5. 30. 16:06

HTTP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은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규약(프로토콜) 입니다. 이러한 규약 중 데이터를 요청(Request)하는 HTTP의 방식에 GET 방식과 POST 방식이 있습니다. HTTP의 GET과 POST 특정 사이트에 정리해주신 자료 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User는 단순히 작성한 내용을 서버에 요청하고 끝내지 않고, 전달하여 DB에 저장하길 원합니다. GET / POST 방식은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서버에 요청할 때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두 방식은 차이점이 있으므로 이해하고 용도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GET HTTP Request Message 의 Header에 url 이 담겨서 전송됩니다. url에 ? ..

[OS] Mutex & Semaphore
SW/Computer Science 2021. 5. 27. 22:42

동기식/비동기식 프로그램 동기식 프로그램 어떤 작업을 요청했을 때 그 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기다린 후 다음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프로그램입니다. 데이터를 주고받는 '순서'가 중요할 때 사용됩니다. 한 작업에 대한 시간이 길어질 경우, 전체 응답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작업이 끝날 때 따로 이벤트를 감지하고 처리하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없습니다. 비동기식 프로그램 어떤 작업을 요청했을 때 그 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작업을 위임하고), 다음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프로그램입니다. 요청했던 작업이 끝나면 결과를 받고, 그에 따른 추가 작업이 있다면 수행합니다. 요청 순서에 상관없이, 동시에 다수의 작업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작업이 끝날 때 따로 이벤트를 감지하고 결과를 받아 그에 따른 ..

[OS] Process & Thread
SW/Computer Science 2021. 5. 27. 21:39

Process & Thread Program : 특정 작업을 위해 실행할 수 있는 파일 Process : 연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컴퓨터 메모리에 올라와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인스턴스(독립적인 개체)입니다. 운영체제로부터 시스템 자원을 할당받는 작업의 단위이기도 합니다. 할당받는 시스템자원 : CPU, Code/Data/Stack/Heap 구조로 되어있는 독립된 메모리영역 각 프로세스는 별도의 주소 공간에서 실행되며, 서로 다른 프로세스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서로 다른 프로세스의 자원에 접근하려면 프로세스 간의 통신(IPC, inter-process communication)을 사용해야 합니다. Ex) 파이프, 파일, 소켓 등을 이용한 통신 방법이 있습니다. Thread : 프로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