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쿠키와 세션

쿠키(Cookie) / 세션(Session)

쿠키와 세션은 웹 통신에서 유지하고 싶은 데이터 (ex. 로그인 데이터) 를 저장해두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곳 을 참고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는 이유

  • HTTP 프로토콜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 Connectionless 프로토콜 (비연결지향)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Request)을 했을 때, 응답(Response)한 후 연결을 끊는 처리방식

      • HTTP 1.1 버전에서 연결을 유지하고, 재활용 하는 기능이 Default 로 추가되었습니다. (keep-alive 값으로 변경 가능)

    • Stateless 프로토콜 (상태정보 유지 안함)

      •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가지지 않는 서버 처리 방식

      • 클라이언트와 첫번째 통신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았다 해도, 두번째 통신에서 이전 데이터를 유지하지 않습니다.

  • 웹 통신에서 유지하고 싶은 데이터 (ex. 로그인 데이터) 를 저장해두는 방법입니다.

쿠키(Cookie)

사용자가 웹 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서버에서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작은 기록 정보 파일입니다.

즉, HTTP에서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클라이언트의 PC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정보를 참조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동작 순서

  1. 클라이언트가 페이지를 서버에 요청 (사용자가 웹사이트 접근)

  2. 웹 서버에서 쿠키 생성

  3. 생성한 쿠키에 정보를 담아 HTTP 헤더에 포함시켜서 클라이언트에게 Response

  4. 넘겨 받은 쿠키는 클라이언트가 가지고 있다가(로컬 PC에 저장) 다시 서버에 요청할 때 요청과 함께 쿠키를 전송

    (동일 사이트를 재방문했을 때 클라이언트에게 해당 쿠키가 있는 경우, 요청 페이지와 함께 쿠키를 전송합니다.)

특징

  • 여러 데이터로 구성됨
    • 이름 : 쿠키를 구별하는 이름
    • 값 : 이름과 관련된 값
    • 유효시간
    • 도메인 : 쿠키를 전송하는 도메인
    • 경로 : 쿠키를 전송할 요청 경로
  • 클라이언트에 최대 300개 저장 가능
  • 하나의 도메인 당 최대 20개 저장 가능
  • 쿠키 하나당 최대 4KB(=4096byte)까지 저장 가능

ex. 방문했던 사이트에 로그인 했을 때, 아이디 비밀번호를 저장하면 재방문 했을 때 자동 입력

세션(Session)

일정 시간 (방문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에 접속한 시점 ~ 웹 브라우저를 종료하여 연결을 끝내는 시점) 동안 같은 클라이언트로부터 들어오는 요청을 하나의 상태로 보고 유지시키는 방법입니다.

즉,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해 있는 상태를 세션이라는 하나의 단위로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동작 순서

  1. 클라이언트가 페이지를 서버에 요청한다. (사용자가 웹사이트 접근)

  2. 서버는 접근한 클라이언트의 Request Header 필드의 Cookie를 확인하여, 클라이언트의 session-id를 확인합니다.

    session-id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서버는 session-id를 생성해 클라이언트에게 돌려주고, 서로 쿠키를 사용해 저장합니다. (쿠키 이름 : JSESSIONID)

  3. 클라이언트는 재접속 시, 쿠키(JSESSIONID)를 이용하여 session-id 값을 서버에 전송합니다.

  4. 서버는 세선 ID 로 세션에 있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가지고 요청을 처리해서 응답합니다.

특징

  • 웹 서버에 웹 컨테이너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
  • 각 클라이언트 고유 Session ID를 부여.
  • 웹 서버에 저장되는 쿠키(=세션 쿠키).
  • 쿠키보다 비교적 보안 우수 (브라우저를 닫거나, 서버에서 세션을 삭제했을때만 삭제되기 때문)
  • 서버 용량이 허용하는 한 저장 데이터에 제한이 없음 (대신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서버 메모리를 많이 차지)
  • Session ID로 클라이언트를 구분하여 각 클라이언트 요구에 맞는 서비스 제공

ex. 사이트를 이동해도 로그인이 풀리지 않고 로그아웃하기 전까지 유지됩니다.

차이점

저장위치, 저장형식, 용량제한, 만료시점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쿠키(Cookie) 세션(Session)
저장 위치 클라이언트(=접속자 PC) 웹 서버
저장 형식 text Object
만료 시점 쿠키 저장시 설정(브라우저가 종료되도, 만료시점이 지나지 않으면 자동삭제되지 않음) 브라우저 종료시 삭제(기간 지정 가능)
사용하는 자원(리소스) 클라이언트 리소스 웹 서버 리소스
용량 제한 총 300개 하나의 도메인 당 20개 하나의 쿠키 당 4KB(=4096byte) 서버가 허용하는 한 용량제한 없음.
속도 세션보다 빠름 쿠키보다 느림
보안 세션보다 안좋음 쿠키보다 좋음

Q. 세션을 쓰면되는데 굳이 쿠키를 사용하는 이유?

A. 세션이 쿠키에 비해 보안도 높은 편이나 쿠키를 사용하는 이유는

세션은 서버에 저장되고, 서버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많을 경우 소모되는 자원이 상당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자원관리 차원에서 쿠키와 세션을 적절한 요소 및 기능에 병행 사용하여, 서버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며 웹사이트의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SW >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 웹서비스  (0) 2021.06.15
[WEB] HTTP의 GET과 POST  (0) 2021.05.30
[OS] Mutex & Semaphore  (0) 2021.05.27
[OS] Process & Thread  (0) 2021.05.27